온라인으로 전입신고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전입신고는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해야 함.
1. 준비물
2. 정부 24에서 전입신고하는 방법
3. Q&A 전입신고만 하면 임대차 신고가 자동으로 되나요?
1. 준비물
1)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2) 신분증,
3)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인증)
2. 정부 24, 전입신고하기
정부 24 이용이 처음이라면 아이디로 회원가입 후, 간편인증이나 공동·금융인증서 등록을 하고 전입신고 시작.
1) 정부 24 접속 → 서비스 → 원스톱/생애주기/꾸러미 서비스. ▼
2) 원스톱 서비스에서 '전입신고 신청'을 누릅니다. ▼
3) 온라인 전입신고 유의사항 확인. ▼
※ 유의사항 확인 후 ①'예' 체크 후 ②확인을 누릅니다. ▼
4) 전입신고 1단계, 신청인의 연락처를 입력하고 전입하는 사유를 선택합니다. ▼
5) 전입신고 2단계, 이사 전에 살던 곳. 시와 구 선택 후 주소조회를 누르면 자동 입력. ▼
※ 전입신고 2단계부터는 간편인증이나 공인(금융)인증서가 없으면 진행 불가.
6) 이사가는 사람을 선택합니다. ▼
7) 전입신고 3단계, 이사온 곳 주소 입력하기. ▼
8) 나머지 사항에 체크 후, '민원신청하기'를 누릅니다. ▼
3. Q&A
※ 2021.6.1부터 시행된 '전월세 신고제'로, 임대차신고를 해야 합니다.
Q. 전입신고만 하면 임대차 신고가 자동으로 되나요?
A. 전입신고 시 임대차 계약서를 제출하면 처리가 가능합니다.
관할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전입신고 시 임대차계약서를 함께 제출할 경우 통합민원청구에서 한번에 처리가 가능하며, 정부24를 통해 전입신고를 완료할 경우 임대차 신고 메뉴가 나타나 임대차 계약서를 등록·입력하여 임대차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계약 후 30일이 지나 전입신고하게 될 경우 계약 후 30일 이내 임대차 신고를 먼저 신고하고 실제 입주 후 전입신고 하여야 합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도소득세, 필요경비 인정 시스템에어컨 (0) | 2023.02.06 |
---|---|
과세표준이란? 시가표준액, 기준시가 (0) | 2023.02.02 |
전입신고 당일 집주인 대출 제한, 1월 30일부터 (0) | 2023.01.18 |
일시적 2주택 처분기한 3년으로 연장 (0) | 2023.01.12 |
조정대상지역 확인 방법 (0) | 2023.01.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