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2023년은 계묘년 '검은 토끼의 해', 육십갑자 연도 계산 방법

by hanspop 2022. 12. 15.

예전에는 지금과 다르게 연도를 숫자로 표시하지 않고, 60갑자로 나타냈는데 어떻게 정해지는지 알아봅니다.

1. 육십갑자(六十甲子)란?
2. 연도로 60갑자 계산하기
3. 2023년은 계묘년 '검은 토끼의 해'

 

 

1. 육십갑자

60갑자하늘의 시간을 나타내는 10개천간(天干)과, 땅을 지키는 12종의 동물을 의미하는 12개지지(地支)를 조합해서 만든 연대 표시 단위입니다. ▼

- 십간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壬), (癸)

- 십이지
(子 쥐), (丑 소), (寅 호랑이), (卯 토끼), (辰 용), (巳 뱀), (午 말), (未 양), (申 원숭이), (酉 닭), (戌 개), (亥 돼지)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등과 같이 읽으며, 순서대로 조합하면 갑자년부터 계해년까지, 처음으로 되돌아오기까지 60년이 걸립니다. 회갑(回甲)이라 부르는 61세(만 60세)의 생일이 더 의미 있게 다가오는 이유가 아닌가 싶네요.

회갑은 자신이 태어난 해의 육십갑자가 돌아왔다는 뜻.

 

※ 2022년 임인년은 왜 검은 호랑이의 해일까?

구분 오행
목(木) 푸른색 화(火) 붉은색 토(土) 황색 금(金) 흰색 수(水) 검은색
갑(甲) 병(丙) 무(戊) 경(庚) 임(壬)
을(乙) 정(丁) 기(己) 신(辛) 계(癸)

천간은 각각 색깔을 지닙니다. ''은 검은색, ''은 호랑이 그래서 검은 호랑이를 의미.

고연전
고연전 사진, 출처 고려대학교

 

 

2. 연도로 60갑자 계산하기

1) 연도를 10으로 나눈 나머지 값으로 십간을 결정.

※ 간단하게 연도의 끝자리 수를 보면 십간을 알 수 있다. ▼

연도의 끝자리 수 4 5 6 7 8 9 0 1 2 3
십간

 

2) 연도를 12로 나눈 나머지 값으로 십이지를 결정. ▼

연도를 12로 나눈 나머지 수 4 5 6 7 8 9 10 11 0 1 2 3
십이지

12마리의 동물
12마리의 동물, 출처 국립국어원

 

※ 예시.

1982년은 연도의 끝자리가 '2'이므로 십간은 '임'이고, 1982를 12로 나눈 나머지는 '2'이므로 십이지는 '술', 임술년 '검은 개의 해'입니다. 

1979년은 연도의 끝자리가 '9'이므로 십간은 '기'이고, 1979를 12로 나눈 나머지는 '11'이므로 십이지는 '미', 기미년 '황금 양의 해'입니다.

YouTube 봄쌤
나눗셈 나머지, 출처 YouTube 봄쌤Bomtube

 

3. 2023년은 무슨 해?

끝자리가 '3'이므로 십간은 '계'이고 연도를 12로 나눈 나머지 값은 '7'이므로 십이지는 '묘', 계묘년.

2023년은 '검은 토끼의 해'

 

 

대표 썸네일
토끼인형 안고 있는 아이 사진

 

댓글